분류 전체보기
-
신석기시대 패제품(新石器時代 貝製品)카테고리 없음 2022. 2. 8. 21:03
패제품의 소재인 조개는 조개가 갖는 모양, 색, 질등의 무리적인 속성과 상징성 그리고 에너지를 공급하는 식량자원이라는 점에서 오래전부터 각별한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종교, 신화, 설화, 민속, 풍습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표출되어 왔다. 패제품의 출현과 사용은 후기 구석기시대까지 올라가지만 도구로서 혹은 생활양식의 한 부분으로 역할과 의미를 갖는 것은 신석기시대 부터이다. 패제품은 소재의 특성상 지역적인 한계와 도구로서의 제약으로 인해 석기나 골각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능과 보편성이 떨어지는 면도 없지 않지만, 신석기시대 해안지역민을 중심으로 각종 생업도구와 장신구로 사용되면서 다양한 영역에 걸쳐 사용된다. 그뿐만 아니라 소재가 갖는 제속성(물리성 · 휘소성 · 외형성 등)이 사회, 문화적 가치와 ..
-
신석기시대 취락(新石器時代 聚落)역사 및 고고학 2022. 2. 8. 20:35
지금까지 확인된 신석기시대 유적은 900여 개 지역적인 편중은 있으나 한반도 전역에 분포한다고 할 수 있다. 발견 형태는 유물산포지가 대부분이고 유적도 취락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주거지나 패총, 바위그늘, 동굴, 무덤, 야외노지와 같은 단위유구가 대부분이어서 전체 취락의 경향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유물이 출토되는 곳은 모두 신석기인들이 살던 생활권으로 볼 수 있으며, 거기에는 반드시 그들이 거주하던 취락 혹은 단위가옥이 존재했을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신석기시대 취락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전기(기원전 10,000 ~ 4000년)에는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소규모 취락과 대규모 취락들이 병존한 형태를 보이며, 이미 정주 취락의 단계에 이르렀던 것으로 판단된다. 중기(기원전 4000 ~ 25..
-
신석기시대 석기(新石器時代 石器)역사 및 고고학 2022. 2. 8. 20:08
신석기시대에는 지역 혹은 집단의 문화적인 특징에 따라 다양한 생업활동이 전개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여러 종류의 생업도구와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생업을 실현하기 위한 도구는 재질과 도구의 가능에 따라 석기, 골각기, 패제품, 목기 등을 사용하는데, 특히 이 중에서 신석기시대를 통틀어 가장 널리 이용된 주요한 도구가 석기이다. 석기는 각종 유적에서 출토되는 유물 중에서 빗살무늬토기 다음으로 많은 양을 차지하며, 빗살무늬토기 못지않게 다양한 사회 · 문화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다. 신석기시대 석기는 구석기시대에 비해 여러 가지 면에서 차별성과 특징을 보여 주는데, 특히 생업 유형과 생산활동 방식에 따라 다양한 기종이 존재하며, 쓰임새에 따라 가능이 분화되거나 새로운 기종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석기 재료는..
-
신석기시대 무덤[新石器時代 墓]역사 및 고고학 2022. 2. 8. 00:29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무덤이 조사된 예는 많지 않다. 북한에서는 상원 용곡리 동굴, 나선 용수동, 경성 지경동, 회령 봉의동 유적 등에서도 인류 화석이나 신석기시대 유물의 출토가 보고되어 있지만 무덤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남한에서 발굴조사된 신석기시대 무덤의 출토지로는 춘천 교동 동굴유적, 옹진 시도, 부산 동삼동 · 금곡동 율리 · 범방, 통영 욕지도 · 상노대도 · 산등 · 연대도, 김해 예안리, 울진 후포리, 진주 상촌리, 고성 문암리, 여수 안도 유적 등이 있다. 묘제로서 옹관묘는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기원전 5000년경)부터 나타나 중기(기원전 2000년경)까지 이어지나 그 이후에는 보이지 않는다. 적석 혹은 부석의 형태를 한 묘제는 전기(기원전 3000년경)부터 중기, 후 · 만기(..
-
신석기시대 목기역사 및 고고학 2022. 2. 7. 22:24
인류가 지구 상에 처음 나타나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한 도구는 나무와 돌이다. 그러나 재질의 특성상 나무로 된 도구는 형체를 유지하고 남아 있기 어렵다. 신석기시대 목기는 토기를 만드는 작은 나무칼을 비롯하여 짐승을 쫓아내는 몽둥이와 돌도끼의 자루, 움집을 지을 때 사용하는 큰 기둥에 이르기까지 생활 전반에 사용되었을 것이다. 현재 남아 있는 신석기시대 목기로는 창녕 비봉리 유적에서 출토된 배와 노, 말목, 검형 목제품 등이 있다. 비봉리유적 출토 배는 통나무 속을 파내 가운데를 오목하게 한 일종의 카누이다. 두척이 출토되었는데 2 호배는 일부만 남아있다. 1 호배는 잔존 길이 약 3.1m, 잔존너비 약 0.62m이다. 제작 시 불에 약간 태워 깎아낸 초흔이 몇 군데에 남아 있다. 사용된 나무는 수령 2..
-
신석기시대 농경(新石器時代 農耕)역사 및 고고학 2022. 2. 7. 22:13
사전적 의미에서 농경은 논밭을 갈아 농사를 짓는 행위이고, 농업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에게 유용한 동식물을 길러 생산물을 얻어내는 산업이다. 농경에서는 식물만 포함하고 농업은 동식물 모두가 대상이다. 그러나 신석기시대 농경과 농업은 앞의 사전적 의미와 다소 다르게, 농경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학자들마다 서로 다른 정의를 채택하고 있다. 현재 한반도 신석기시대 농경에 대해서는 크게 세 가지 입장이 대립하고 있다. 첫 번째는 신석기시대 시작부터 농경이 있었다는 입장으로, 북한에서는 전기의 괭이 농사에서 중기에는 보습 농사로의 발전단계까지 상정하고 있다. 괭이 농사는 뒤지개나 괭이로 땅을 뒤지고 거기에 대해서 씨나 뿌리를 심는 원시적인 농사를 말하며 유적에서 발견되는 괭이, 뒤지개 같은 도구들과 낟알이나 열매를..
-
신석기시대 골각기역사 및 고고학 2022. 2. 7. 21:30
포유류, 조류, 어류의 뼈, 치아, 뿔 등을 소재로 만든 가리킨다. 골각기는 그 재질이 단단하면서도 탄력성을 갖춘 물리적 특성과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이점 때문에 구석기시대부터 석기나 목기의 보완적 도구로서 혹은 그 자체가 도구로 제작되어 다양하게 활용되어 왔다. 골각기는 전기와 중기 구석기시대에도 매우 드물게 확인되지만, 본격적으로 각종 동물뼈를 가공하여 다양한 도구로 활용하는 것은 후기 구석기시대부터이다. 그러나 이 시기의 골각기는 생업도구로서의 사용은 제한적이었다. 신석기시대에 접어들면서 출토 유적, 출토양, 종류, 사용범위, 일상생활과 생업활동에서 차지하는 비중 등에서 골각기의 시대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다양한 종류의 골각기가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폭넓게 사용된다. 그뿐만 아니라 석기와 함..
-
신석기시대역사 및 고고학 2022. 2. 6. 23:48
신석기시대란 기원전 9500년 무렵 전신세에 들어서면서 동물의 가축화와 작물의 재배화가 이루어지고, 도구로서 마제석기와 토기가 발명된 시기로 정의된다. 각 요소의 출현 시기가 지역마다 다소 다르지만, 구미 학자들은 20세기 전반부터 농경의 출현을 신석기시대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아왔다. 반면 동북아시아지역에서는 1990년대부터 토기의 출현이 갱신세 말까지는 소급되는 증거가 다수 발견되고 있었다. 가장 일찍 이러한 증거가 보고된 곳은 일본이며, 후쿠이 동굴 · 센부쿠지 유적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아무르 하류에서는 하바롭스크 가샤 · 훔미, 연해주 우스티노브카 3유적 등이, 중국에서는 광서성 증피암, 장시성 선인동 유적 등이 유명하다. 이러한 경향으로 보건대 동북아시아 대륙의 광대한 지역에 걸쳐 토기는 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