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낙랑 고분(樂浪 古墳)역사 및 고고학 2022. 2. 26. 19:13
한반도 서북한 지역에 분포하는 낙랑군 시기의 고분으로, 지역적으로는 청천강 이남에서 멸악산맥 이북 사이에 주로 분포한다. 고분이 가장 많은 곳은 토성동 토성의 남쪽 지역으로서, 일제시기 대동군 대동강면 정백리 · 석암리 · 오야리 · 토성리 및 남곤면 남정리 등에 해당하며, 현재는 평양 특별시 낙랑구역에 속한다. 해방 이전 일본인이 개략적으로 조사하였을 때에 2,000여 기의 고분이 있었다고 한다. 1907년 벽돌무덤(專築墳)을 발굴한 이래, 일제시기에 71기의 귀틀무덤과 벽돌무덤을 발굴하였지만, 57기만 고적조사 보고서 등에 소략하게 실려 있을 뿐이다. 북한에서는 1970년대까지 124기를 발굴하여 고고학자료집 등을 통해 보고하였으나, 1981~84년 사이에 발굴되었다고 하는 328기에 대해서는 아직 ..
-
부장품(副葬品)역사 및 고고학 2022. 2. 26. 18:48
피장자를 장식하거나 사후세계를 위해 물품을 껴묻어주는 행위에 의해서 남게 된 것을 말한다. 즉 우선 피장자에게 옷을 입히거나 장신구를 달아주는 행위로부터 생전에 사용하던 물품을 함께 묻어주기도 하며, 피장자의 신분이나 지위 또는 역할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물품을 따로 만들어 매납하는 행위들이 고고학 자료로 남은 것이다. 인류사를 통해 볼 때 매장의례와 관련된 고고학적 증거는 지금으로부터 77000년전 네안데르탈인 단계부터 찾을 수 있으며, 부장품의 기원도 그 무렵부터라고 이해된다. 이스라엘의 카프제(Qafzeh)유적, 우즈베키스탄의 테춰타쉬(Teshik Tash) 유적, 이라크의 샤니다르(Shanidar) 동굴유적 등은 모두 네안데르탈인 단계에 해당하는데 각각 사슴뿔과 타조알, 산양의 두개골, 꽃 ..
-
기와(瓦)역사 및 고고학 2022. 2. 25. 22:03
가옥의 지붕을 덮는 옥개용(屋蓋用)의 건축부재를 말한다. 양질의 점토를 재료로 모골(模骨) 및 와범(瓦範) 등의 제작틀을 사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만든 다음, 가마에서 높은 온도로 구워서 제작한다. 원래 목조건물의 지붕에는 이엉이나 볏짚, 그리고 나무껍질 같은 식물성 부재를 사용하였는데 내구력이 약하여 자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방수효과나 강도가 높은 반영구적인 점토소성품(粘土燒成品)인 기와가 출현하게 되었다. 목조건물에 기와를 사용하여 지붕을 이는 풍습은 고대 동양건축의 주요한 특징의 하나이지만, 그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 규명되지 않고 있다. 중국의 문헌인 고사고(古史考)에 “하나라 때 곤오씨가 기와를 만들었다(夏時昆吾氏作瓦)”고 기록하고 있다. 기와의 발견 예는 주말(周末) 연(燕)의 하도(下都)인 ..
-
기반식고인돌(基盤式支石墓, 南方式支石墓)역사 및 고고학 2022. 2. 25. 20:52
기반식고인돌은 '남방식고인돌' 혹은 '바둑판식고인돌' 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주로 전라도, 경상도 등 한강 이남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판돌(板石), 깬돌(割石), 냇돌(川石) 등을 사용하여 지하에 무덤칸을 만들고 덮개돌(上石)과 무덤칸 사이에 3, 4매 또는 그 이상의 고임돌(支石)이 있는 형식이다. 지하 무덤칸의 구성은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반드시 그 윗면을 덮는 자신의 뚜껑돌(蓋石)을 가지고 있다. 뚜껑으로는 판돌을 이용하기도 하였으나 나무로 만든 뚜껑을 덮었을 가능성도 많다. 일부에서는 개석 (無支石式) 고인돌을 기반식고인돌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지하 매장시설의 구조는 돌널형(石棺形), 혼축형(混築形) 돌덧널형(石槨形), 돌돌림형(圍石形) 그리고 토광형(土墳形)으로 구분해 볼..
-
금석문(金石文)역사 및 고고학 2022. 2. 25. 20:25
금속(金屬)이나 돌붙이(石類)에 새긴 글씨, 또는 그림을 총칭한다. 따라서 크게 금문과 석문으로 분류된다. 한층 넓은 의미로는 갑골문(甲骨文), 와전명(瓦塼銘), 토기명문(土器銘文), 금 · 은에 새긴 글, 목간(木簡)등을 포함시키기도 한다. 금석문은 당대 사람들에 의해 직접 만들어진 1차 사료이므로 그들의 생활이나 의식을 여과(流過)없이 그대로 반영하고 있어 자료적인 가치가 대단히 높다. 특히 문헌사료가 부족한 고려시기 이전의 금석문은 더할 나위 없는 소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금문 자료 종류로는 칼(刀劍)에 새긴 글자, 범종명(梵鐘銘), 청동거울(銅鏡)과 여러 종류의 불기(佛器)에 새긴 글자, 조상(造像), 동인(銅印) 등을 손꼽을 수 있다. 석문은 비문이 중심인데, 그 내용에 따라 사적비(事蹟卑), ..
-
귀면문(鬼面文)역사 및 고고학 2022. 2. 24. 16:47
벽사(辟邪)의 뜻으로 괴수 얼굴이나 몸의 형상을 나타낸 문양을 말하며, 주술적인 제기(祭器)의 장식의장이나 건축, 또는 고분 등에서 상징적인 그림으로 많이 나타난다. 표현형식은 귀면이라는 말 그대로 얼굴부분을 주로 하였으나, 때로는 전지(前肢) 혹은 사지(四肢)까지도 표현하는 수가 있다. 얼굴만을 표현할 때에는 눈, 코, 입이 표현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눈은 반구형(半球形)으로 융기되었고, 코는 중앙부에서 넓은 자리를 차지하면서 높이 솟아 큰 콧구멍이 표현되었으며, 입은 크게 벌려서 커다란 치아를 드러냈는데, 특히 아래위에 깊고 날카로운 송곳니를 표현하였다. 이밖에도 귀, 수염, 머리카락 등 을 얼굴 주위에 나타내는 수도 있고, 때로는 눈위 좌우에 큰 뿔을 첨가하는 수도 있다. 사지를 함께 표현할 때..
-
귀고리(耳飾)역사 및 고고학 2022. 2. 23. 06:52
귀고리는 '귀걸이'라고도 불리며 선사시대에서부터 꾸준히 사용되어 온 장식품의 일종으로, 금속문화(金屬文化)의 도입과 함께 천하석(天河石), 수정(水晶), 호박(味)등 에서 금(金), 금동(金銅), 은(銀)으로 소재가 전환되어 다양한 형태의 금속제 귀고리가 유행하였다. 특히 금으로 제작된 귀고리가 가장 많고 그 장식미가 뛰어나 삼국시대에 매우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삼국시대의 귀고리는 1개의 고리로만 된 소환귀고리(素環耳飾)와 여러 꾸미개가 달려 장식이 화려한 드리개장식귀고리(垂附耳飾)가 있는데, 후자의 기본구조는 귀에 직접 거는 고리(主環)와 그 아래의 꾸미개로 구성된 중간식(中間飾), 가장 아래 매달리는 드리개(垂下飾)로 구성된다. 또한 고리는 굵기에 따라 굵은고리(太環)와 가는고리(細環)로 나뉘고..
-
귀갑문(龍甲文)역사 및 고고학 2022. 2. 23. 06:28
거북의 등껍질 모양과 비슷한 육각형의 문양을 말하며,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연속된 무늬로 베풀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귀갑문(龜甲文), 귀쇄문(龜鎖文)이라고도 하는데, 거북이 지닌 상징적 의미인 장수(長壽), 상서(祥瑞), 선수(仙獸)의 뜻을 나타낸다. 거북은 예로부터 봉(鳳), 용, 기린, 범 과 함께 오령(五靈: 다섯가지 신령스러운 동물)으로 일컬어 져왔으며, 사신도(四神圖)에서는 현무(玄武)라 하여 북쪽을 담당하는 신으로 생각되었으며, 후대에는 십장생(十長生)의 하나로서 일컬어졌다. 거북의 이러한 상징적 의미는 고대미 술에서는 조각, 장식품, 부적, 민화, 그리고 의복무늬 등 매우 다양한 형식으로 나타난다. 거북은 우주를 상징하였으니 거북의 등이 돔 형태로 되어 하늘의 천장을 상징하며, 가슴과 배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