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신석기시대 석기(新石器時代 石器)
    역사 및 고고학 2022. 2. 8. 20:08

     신석기시대에는 지역 혹은 집단의 문화적인 특징에 따라 다양한 생업활동이 전개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여러 종류의 생업도구와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생업을 실현하기 위한 도구는 재질과 도구의 가능에 따라 석기, 골각기, 패제품, 목기 등을 사용하는데, 특히 이 중에서 신석기시대를 통틀어 가장 널리 이용된 주요한 도구가 석기이다.

     석기는 각종 유적에서 출토되는 유물 중에서 빗살무늬토기 다음으로 많은 양을 차지하며, 빗살무늬토기 못지않게 다양한 사회 · 문화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다. 신석기시대 석기는 구석기시대에 비해 여러 가지 면에서 차별성과 특징을 보여 주는데, 특히 생업 유형과 생산활동 방식에 따라 다양한 기종이 존재하며, 쓰임새에 따라 가능이 분화되거나 새로운 기종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석기 재료는 주변에 구할 수 있는 석재를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원재료의 확보가 어려울 경우는 주변 지역과의 교역을 통해 완제품이나 원석을 입수하여 사용 하기도 한다. 일본 규슈(九州) 지역에서 유입된 남해안 지역의 흑요석과 사누카이트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 밖에 재지의 석기와 구별되면서 유적 주변에서 산출되지 않는 석재로 만든 화강편마암제 석부 등은 흑요석과 함께 특정의 석기가 지역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석기 소재로 널리 사용된 암석으로는 안산암, 응회암, 화산암, 화강암, 화강편마암, 편마암, 편암, 혈암(점판암), 각암(차트) 사암, 섬록암, 니암(혼펠스), 규암, 석영반암, 규장암, 운모편암, 경옥암, 유문암, 천매암, 흑요석, 사누 카이트 등이 있다. 석기 소재의 선택은 석기제작의 목적과 기종에 따라 결정되기도 하고, 집단이 속한 자연환경 즉 지질적 조건에 따라 크게 좌우되기도 한다.

     석기제작은 구석기시대에 보이지 않던 새로운 가공기술이 도입되고 발전되면서 다양화되고 정밀해진다. 가공기법은 석기의 기종과 집단의 문화적인 전통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압압(抑壓)박리기법, 고타 기법, 마연 기법, 찰절 기법 등이 사용된다.

     가공 기술 중에는 소형석기의 인부를 만들기 위한 세부 조정 박리 기법과 마연 기법과 같이 후기 구석기시대의 기술적 전통을 갖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의 가공기술은 신석기시대에 확립되고 발전한다. 석기는 식량자원을 획득하는데 1차적으로 관계하는 생산 용구와 획득된 자원을 가공하거나 다른 활동영역에 사용되는 각종 도구를 제작하는데 활용되는 가공구, 실제 생업에 관계하지 않고 의례적 혹은 정신생활과 관련된 비실용구로 대별할 수 있다.

    생산 용구는 생업 영역에 따라 수렵구와 어로구, 채집 · 농경구로 나누어진다. 수렵구로는 먼 거리에서도 사냥을 할 수 있는 활과 화살, 근거리용인 창 등이 있으며, 어로 활동에 관련된 대표적인 도구는 어망추, 석추, 결합식 조침, 결합식 작살, 단식 작살 등이 있다. 일부 대형 어류나 강치, 물개, 고래 등을 포획하기 위해서는 석창을 사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채집 · 농경구로는 땅을 일구거나 근경류, 구근류의 채집에 이용된 타제석부와 유견석기, 수확용의 석겸(石錄 ; 돌낫) 등이 있다. 용도는 불확실하나 원반형 석기도 채집, 농경과 관련된 도구로 추정되고 있다.

     가공구는 가공 대상의 성격에 따라 식료 가공(조리)구 벌채 및 목재 가공구, 석재 가공구로 구분된다. 실로 가공구로는 갈돌, 갈판, 고석, 홈돌, 대석, 석시, 박편석기(긁개, 찌르 개, 밀개), 석도, 석인, 돌톱 등이 있으며, 벌채 및 목재 가공구로는 전면 마제석부, 인부 마제석부, 석착(돌끌), 편평 편인 석부가 있다. 석재 가공구로는 지석, 찰절석기, 석추, 망치돌 등이 있다.

    비실용구로는 자료가 많지 않아 구체적인 종류와 성격은 알 수 없지만, 현재까지 조사된 자료로 보는 한 장신구와 의례구로 구분할 수 있다. 장산구는 이식, 수식, 팔찌 등이 있으며, 의례구로는 사례가 적어 단정할 수 없지만 춘천 교동 유적에서 출토된 봉상(棒狀) 석기가 의례 행위와 관련된 도구로 추정되는 정도이다.

    신석기시대 석기는 제작방법과 기술, 형식적인 특징, 용도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식과 기종으로 세분된다. 그러나 전시기를 통해 항상 같은 양상을 유지했던 것으로 는 생각되지 않으며, 사회 · 경제적 변화와 집단의 생업환경 및 생산 방식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변이를 가지면서 변천해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Designed by Tistory.